본문 바로가기

일상 포르노그라피

(17)
서울, 종로 종로는 김수영 시인을 떠올리게 한다. 찬란한 도읍의 중심, 광화문에서 사대문의 동녘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흥인지문에 이르기까지의 바로 그 거리. 그는 시 '거대한 뿌리'에서 서울에서 나고 자라며 살아온 자신의 정체성을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꺼먼 가지를 가진 거대한 뿌리로 형상화했다. 광화문 네거리에서 바라본 서울의 풍경은 시인 만의 자조적이며 냉소적인 필치로 묘사되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무수한 반동분자'들이 활개 치는 서울의 모습이었다. 요강, 망건, 장죽, 종묘상, 장전, 구리개 약방, 신전, 피혁점, 곰보, 애꾸, 애 못 낳는 여자, 무식쟁이 와 같은 반동분자들은 더 이상 이 거리 속에 없다. 그들이 활보하던 광화문 앞으로 펼쳐진 육조六曺 거리는 지하 속의 유물이 된 지 오래다. 서울의 중추라고도..
하지, 여름에 이르다 좀처럼 서산으로 저물 기미가 보이지 않는 태양이 지상에 14시간 이상이나 머물게 되는 이 시기가 오면 비로소 여름을 피부로 만끽하는가 싶다. 굳이 달력을 뒤적여가며 절기를 구분 짓지 않아도 이 세계의 단서들은 낮이 밤보다 길어지는 지금의 때를 어김없이 지목하고 있다. 모내기, 가뭄, 기우제, 감자 수확 등. 하지를 전후하여 수확한 농작물로 여름의 밥상은 연일 풍요로우며, 다시 공터가 된 경작지로는 깨, 콩 등의 모종을 알뜰하게 심어 가을 추수를 기약한 뒤, 곧 닥칠 장마를 기다린다. 하지가 막바지에 이를 무렵, 봄철에 싱그럽게 피어올라 초여름의 기운을 함뿍 먹은 텃밭 식물들은, 어느덧 갈무리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한 포기 움켜쥐고 땅 속에서 흙덩이와 얼기설기 얽힌 뿌리를 흔들어 준 뒤, 과감하게 뽑아..
꼬망 푸른눈의 심장 암살자. 짙은 초코색의 발바닥과 등에 나 있는 마쉬멜로우 무늬가 매력 포인트.
아보카도 새우 부르스케타 새로움의 충격이 오감을 치켜 세우는 순간은 그리 자주 찾아오는 것 같지는 않다. 생물학에서는 감각세포가 흥분할 수 있는 최소 자극의 세기를 역치값이라 부르는데 연륜이 쌓여감에 따라 개개인이 갖는 역치는 그 수치가 점점 높아질 것이다. 그리하여, 그 어떤 물리적 정신적 흔들림에도 평정심을 유지하게 되는 절대 경지에 다다른다거나... 잡설이 늘어졌다, 아보카도를 처음 마주했을 때의 충격을 설명하려 했던 것인데. 역시나 먹을 것에 별 다른 관심이 없던 나는, 미식을 즐기는 최측근의 활약 덕에 이 신기한 과일을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다. 그렇게 어리지도 않았다. 나름의 개똥철학으로 연애상담이나 고민거리 정도는 거뜬히 들어줄 수 있는 경험치가 쌓여왔다고 생각했다. 어느날 친언니 손에 들려 있던 주먹만한 물건. 악어..
Michelle My Belle, 완연한 여름이 오기 전, 집에만 머물고 있던 나의 일상 속에 고양이 한 마리가 침투했다. 회갈색의 얼룩무늬가 꽤 대칭을 이루고 있는 모습의 거세한 성묘였다. 알 수 없는 무늬 사이로 드러난 새하얀 목덜미와 가슴팍은 마치 풍성한 모피를 두르고 있는 것 같이 우아하게 빛나고 있었다. 곧게 뻗은 네 다리와 솜방망이처럼 도톰하게 솟아오른 네 발로는 흰 장화를 신겨놓은 듯한 인상을 풍겨 왔다. 시시때때로 유연하게 일렁이는 길다란 꼬리는 검은색과 회갈색이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해가며 스트라이프 무늬를 그려냈다. 보는 각도와 시선에 따라 검은고양이, 혹은 흰 고양이, 또는 신비로운 얼룩무늬로 뒤덮인 고양이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였다. ...
진정한 후렌치후라이의 시대는 갔는가 'French-Fries'라면, 감히 나의 소울푸드라고 운을 띄어본다. 그 이름에서 풍기듯 프랑스, 벨기에로부터(프랑스와 벨기에 사이에서 프렌치프라이를 두고 원조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유래된 감자 조리법을 후렌치 후라이라 명명하게 되었다만, 이토록 광범위한 인지도를 얻게 된 것은 다국적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의 영향이 매우 컸을 것이다. 나는 바로 그 다국적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중 하나인 맥도날드사의 후렌치 후라이를 청소년기의 자양분으로 삼아 왔다. 후렌치 후라이를 먹기 위해 하루가 머다 하고 맥도날드로 달려가 가장 싼 치즈버거 세트를 주문하곤 했으니. 당시에는 밀크셰이크로 교환이 가능했던 때라 치즈버거+밀크셰이크+후렌치 후라이+마요네즈의 조합으로 천국을 맛봤다고 할까. 영화와 음악, 패션잡지, 어려..
Everday is Like Sunday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홍대 거리는 마이너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천국같은 곳이었다. 요란한 패션의 펑크족, 개성 충만한 예술가들, 왠지 멜랑콜리해 보이는 젊은이들로 가득차 있던 거리. 소위 Bripop-invasion이라 일컬어지는 영국발 팝 음악이 홍대 구석구석을 점령했던 것도 그 당시다. 흠모하는 뮤지션들의 밴드명을 간판으로 내건 펍들이 상가 건물 구석 구석에 둥지를 틀고 방황하는 영혼의 상처를 어루만져 주던. Pub, The Smiths. 쿠엔틴 타란티노의 영화 미장센을 상기시키는 인테리어. 음침한 조명아래 놓여있던 당구대. 스타일리시한 큐대와 당구공을 배경으로 서서히 퍼져가던 담배 연기. 어두운 조명 사이로 희미하게 비쳐 오던 모리세이와 밴드의 흑백사진들. 칵테일을 알지 못하던 시절의 고등학..
나의 작은 정원 태양빛을 무한히 머금은 시간 속에 머무르고 있을 때면, 알 수 없는 질투심과 함께 방광염에 걸린 고양이마냥 어쩔 줄 몰라하곤 한다. 비록 자외선의 유해성을 염려하는 나 자신은 태양의 직사광에서 한 발치 떨어져 몸을 웅크리고 있다만. 우주의 암흑물질을 뚫고 기적적으로 이 푸른 행성의 대지로 내리쬐는 빛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광합성이 가능한 식물. 그 다음으로는 고양이. 그 다음엔 젖은 빨래감. 그리고, 포토그래퍼의 눈. 그 아래로 비등비등하게 태양빛을 그리워하는 나의 피부, 습기로 인해 눅눅해진 세간 살이 등등. 개량 한옥에는 으레 타일로 마감한 마당의 화장실 공간이 딸려 있다. 그리고 계단으로 연결된 화장실 윗 공간을 활용해 옥상을 가꾸곤 한다. 용마루를 기준으로 처마 끝..